[백준/Python] #4673 : 셀프 넘버 - 구현
·
알고리즘/백준 풀이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4673 4673번: 셀프 넘버 셀프 넘버는 1949년 인도 수학자 D.R. Kaprekar가 이름 붙였다.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(n)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. 예를 들어, d(75) = 75+7+5 = 87이다.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, www.acmicpc.net 집합 함수 set() 이용 집합 간 연산 (차집합) 사용 -> 1부터 10000까지의 숫자들의 집합에서 생성자가 있는 집합을 구해 빼준다 numbers = set(range(1, 10000)) remove_set = set() for num in numbers: for n in str(num): num += int(n) remove_set.add(..
[백준/Python] #1931 : 회의실 배정 - 그리디
·
알고리즘/백준 풀이
접근 핵심 : 빨리 끝나는 회의 순서대로 정렬을 해야 한다 -> 빨리 끝날수록 뒤에서 고려할 수 있는 수가 많아짐 정렬 시 sort(list, key = lambda x : x[n])를 사용할 수 있음 -> 기준을 여러 개 적용해서 한번에 정렬할 수도 있음 sort(list, key = lambda x : (x[m], a[n])) *key에 여러 인자를 준다 이건 알겠는데 이렇게 해도 이렇게 해도 왜 계속 3이 나오는겨 4나와야 되는데 뭐가 문제지 요게 문제였다. 끝나는 시간을 기준으로 우선 정렬해주고, 끝나는 시간이 같은 경우를 위해 시작 시간을 그 다음으로 정렬해주어야 하는데, 그렇게 해줄려면 x[1], x[0] = last_end: count += 1 last_end = time[i][1] prin..
멋쟁이사자처럼 11기 프론트엔드 파트 지원 후기
·
회고/후기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IT 연합동아리 코테이토 6기 지원 후기
·
회고/후기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잇타 IT's time 연합IT동아리 2기 지원 후기
·
회고/후기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[CaseStudy] 알고리즘 2주차 수업 내용 정리
·
알고리즘
자료구조 Data Structure 1) 배열 배열은 삽입, 삭제가 느리고 조회가 빠르다 2) 연결리스트 배열과 연결리스트는 특징이 반대인데 파이썬에서는 배열의 기호로 [] (리스트)를 사용하여 헷갈릴 수가 있음. 연결리스트는 노드 단위로 존재. 삽입, 삭제가 빠르고 조회가 느림. 파이썬은 연결리스트가 없어 직접 구현해야 한다고 함. 연결리스트는 데이터를 비연속적으로 저장하여 임의 접근이 불가능!! 3) 스택 LIFO / FILO 구조 배열은 스택의 연산을 포함하고 있다. => 배열 ) 스택 배열을 이용해서 스택을 구현. 한가지 주의점은 배열에서 스택을 구현할 때, pop()에 인덱스를 주어서 맨 위가 아닌 값을 삭제하게 되면 스택으로써의 기능(?)을 잃게되어 적절하지 않은 상황이 됨. 스택으로 쓸거면 ..
해안해
개화